반응형
GIS에 종사하다 보면, 흔히 겪는 문제가 데이터의 좌표가 맞지 않는 상황이 빈번하다는것이다.
처음에는 좌표가 안맞는다는것 자체를 이해를 못했는데, 업계에 있다보니 그럴 수 밖에 없는 상황들이 존재한다.
1. 우선, 오류의 가장큰 원인은 데이터를 다루는 작업자들이 좌표에 대해서 정확히 모르는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한다는것이다.
결국, 잘못된 데이터가 흘러가게 되고 그런데이터들이 돌아다니게 된다.
2. 위 문제에서 비롯된 결과 인데,
가장많이 헷갈려하는것이, besel 타원체 데이터인데, GRS80 으로 읽어들이는 경우.
반대로, GRS80인데 basel로 읽어들이는 경우가 가장 흔한 오류상황이다.
3. 마지막으로 basel의 좌표문제인데, 원점이 바뀌었다는것이다.
일본의 지진으로 인해서, 0.00289도 만큼 원점이 이동했다. 그로인해, 그전에 작성된 데이터와
그후에 작성된 데이터 간의 불일치로 인한 오류이다.
4. 2번과 3번이 짬뽕되서 나타나는 오류를 만나면 사람들이 가장 당황하게 된다.
2번문제일거라고 생각하고 좌표를 바꿔도 맞지가 않거든... ㅡㅡ;
위 문제들이 대부분이며 그외 문제들은 누구나 쉽게 오류를 발견할 수 있다.
반응형
'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QL 에 shp 데이터 넣기 (0) | 2018.11.22 |
---|---|
UTM and TM (0) | 2018.05.29 |
브이월드 vector tile (0) | 2018.03.08 |
국내 좌표계 towgs84 파라미터 계산 (0) | 2014.10.15 |
[GIS 좌표계 개념] GCS vs PCS (0) | 2014.10.15 |